맨위로가기

기아 세피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아 세피아는 기아자동차가 생산한 준중형 자동차로, 1992년 9월에 출시되어 2003년까지 두 세대에 걸쳐 판매되었다. 1세대 세피아는 기아 캐피탈의 후속 모델로, 마쓰다의 기술 제휴를 통해 개발되었으며, 동급 최초로 전륜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첨단 안전 및 편의 사양을 갖춰 인기를 얻었다. 1994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뉴 세피아로 판매되었으며, 1997년에는 2세대 모델인 세피아 II가 출시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등의 영향으로 판매 부진을 겪었다. 2세대 모델은 2000년 기아 스펙트라로 페이스리프트되며 단종되었고, 2세대 세피아를 기반으로 한 슈마는 1997년부터 2000년까지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도입된 자동차 - 지프 그랜드 체로키
    지프 그랜드 체로키는 크라이슬러에서 생산하는 중형 럭셔리 SUV로, 모노코크 바디 구조와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특징으로 하며, 오프로드 성능과 고급 편의 사양을 갖춘 다양한 트림을 제공하고 현대 팰리세이드, 기아 텔루라이드 등과 경쟁하며 연료 탱크 및 변속기 관련 문제로 리콜을 실시한 바 있다.
  • 1992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타우너
    기아 타우너는 다이하쓰 하이젯을 기반으로 아시아자동차에서 생산, 판매된 경상용차로, 트럭과 코치 모델이 있었으며 배기가스 규제 미달로 단종 후 재출시되어 현재는 전기차 모델 개발도 진행 중이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의 차종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 기아 - 기아 프라이드
    기아 프라이드는 기아에서 생산했던 소형차로, 1987년부터 2017년까지 판매되었으며,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다양한 모델이 출시되었고, 4세대는 기아 리오라는 이름으로 해외에서 판매된다.
  • 기아 - 기아 콩코드
    기아 콩코드는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기아자동차에서 마쓰다 카펠라를 기반으로 생산한 전륜구동 중형 세단으로, 대한민국 최초로 에어백을 선택 사양으로 제공했으며, 영화 '투캅스'에 등장하기도 했다.
기아 세피아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기아 세피아
기아 세피아
차종준중형차
제조사기아자동차
별칭기아 멘토
티모르 S5 (인도네시아)
생산 기간1992년~2000년
조립 장소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차체 형식4도어 세단
구동 방식전륜구동
차대모노코크
관련 차량기아 스펙트라
기아 슈마
해외 판매
제조사기아 자동차
생산 기간1992년 9월 – 2003년
차체 스타일해치백, 세단
이전 모델기아 캐피탈 / 기아 콩코드
후속 모델기아 세라토 / 기아 포르테
차급준중형차 (C)
레이아웃전륜구동
북미 판매 기간1994–2001

2. 1세대 (1992년 9월~1997년)

기아자동차는 준중형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어가던 캐피탈을 대체할 차가 필요했다. 이에 1988년 6월부터 'S-Car' 프로젝트를 극비리에 추진, 개발비 1,200억 원을 포함해 총 5,300억 원을 투자하여 1991년 10월 26일 도쿄 모터쇼에서 스포티지와 함께 세피아를 처음 선보였다.[19]

마쓰다의 기술 지원 거부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스포티지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전륜구동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1.5리터 가솔린 엔진은 마쓰다에서 공급받았고, 1.5리터 DOHC 엔진은 캐피탈과 공유했지만, 세팅을 다르게 하여 장착했다. 이후 독자 개발한 T8D 1.8리터 DOHC 가솔린 엔진을 추가하며 완전한 국산화를 이루었다.

'세피아(Sephia)'라는 차명은 Safety(안전), Economy(경제성), Practical(실용적), High-tech(하이테크), Ideal(이상적), Automobile(자동차)라는 여섯 단어의 조합이다.

1992년 9월 22일 한국종합전시장에서 신차발표회를 갖고 출시되었으며,[20]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석천리 공장에 연 15만 대 생산이 가능한 생산라인을 증설하였다.

첨단 기술과 뛰어난 디자인,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으로 '공도(公道)의 제왕'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엘란트라를 제치고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했다. 초기 시승 및 평가에서 우수한 응답성과 경쾌한 속도로 호평을 받았으며, 당시 국산차 중 최단 기간 10만 대 판매를 달성했다.

1993년 93 대전 엑스포의 공식 차량으로 지정되었고, 판매 개시 7개월 만에 승용차 중 최단 기간 10만 대를 돌파했다. 1993년 7월 12일에는 북미 시장에도 진출했다.

세피아는 북미시장 출시 전 미국캐나다의 폭염, 혹한 지역 테스트를 거쳤으며, 미국 NHTSA의 모든 충돌 시험을 통과했다. 1994년형 모델부터는 GLX 이미지 팩에 한정하여 ABS와 운전석 에어백을 장착했다.

1994년 11월 4일에 출시된 뉴 세피아는 기존 세피아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더욱 둥글고 커진 디자인으로 '중형차 같은 준중형'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1995년부터 강화된 미국 연방 안전기준(FMVSS)을 적용, 54km/h 측면 충돌 안전성을 확보했다. 1997년형부터는 조수석 에어백도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뛰어난 주행 성능을 인정받아 독일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터 운트 스포트'의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서 소형차 부문 1위를 차지, 전 차종 만족도 중 3위를 기록했다. 또한 독자 개발 플랫폼은 마쓰다에서도 우수성을 높이 평가했다.

1995년 국제 자동차 연맹(FIA) 호주 세계 랠리에서 1,600km를 완주하여 NP3 및 NP2 부문에서 1위를 달성했다.

1996년 10월 23일에는 유럽 시장을 겨냥한 5도어 해치백 모델 세피아 레오를 출시했으나, 기아자동차의 경영 악화와 시장 상황으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단종되었다.

1996년 5월에 선보인 1997년형은 리어 램프의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T8D 1.8ℓ DOHC 엔진이 추가되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국민차로 선정되어 '티모르(Timor) S5'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88개국에 진출했다. 5도어 왜건 모델인 '기아티모르(Timor) 세피아 왜건'도 있었으나, 인도네시아에서만 판매되었다.

기아 세피아 정측면


기아 세피아 후측면

2. 1. 라인업 (1992년)

구분1.5ℓ SOHC 가솔린1.5ℓ DOHC 가솔린
세피아SLX, GTXGLX, GLX (Image 팩)


2. 2. 제원 (1992년)

4단 자동구동 형식전륜구동연료가솔린연료 분사 방식MPI (Multi Point Injection)엔진 형식B5-MEB5-DE배기량(cc)1,498최고 출력(ps/rpm)92/5,500105/5,500최대 토크(kg*m/rpm)13.5/2,50015.0/4,000서스펜션(전)맥퍼슨 스트럿서스펜션(후)듀얼 링크식 맥퍼슨 스트럿최소 회전 반경(m)5.1등판 능력(tanθ rad)0.647공차 중량(kg)1,015(수동)/
1,060(자동)1,050(수동)/
1,080(자동)연비(km/ℓ)15.75(수동)/
12.58(자동)15.97(수동)/
12.35(자동)


2. 3. 뉴 세피아 (1994년 11월~1997년 8월)

1994년 11월 4일에 출시된 뉴 세피아는 기존 세피아를 페이스리프트한 모델로, 둥근 디자인을 적용했다. 기아자동차는 이 차를 "중형차 같은 준중형차"로 홍보하여 판매량이 크게 늘었다.[23]

국내 최초로 안개등과 콤비 램프가 내장된 일체형 고광도 헤드램프, 일체형 대시보드를 적용했다. 조작성이 좋고 도난 방지 기능이 있는 알파인 오디오와 로터리 절화식 에어컨은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안전성 강화를 위해 T자 프레임, 전면 패널, (뒷좌석까지 확대 적용된) 도어 임팩트 바, 고장력 강판 사용 비율을 높였다. 1995년부터 강화된 미국 연방 안전기준(FMVSS)을 충족하기 위해 570여 가지를 혁신적으로 바꾸었으며, 54km/h 측면 충돌 안전성 확보를 위해 특수 보강재와 시트 하단 특수 프레임을 장착했다. 1997년형부터는 조수석 에어백도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뉴 세피아는 미국 연방 교통안전국(NHTSA)의 안전성 평가에서 에어백 없이 운전석 3성, 조수석 4성을, 에어백 장착 모델은 운전석과 조수석 모두 4성을 받아 안전성을 입증했다.[23]

독일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터 운트 스포트'의 소비자 만족도 조사에서 뉴 세피아는 2.25점을 받아 도요타 코롤라, 혼다 시빅을 제치고 소형차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 차종 만족도 중 포르쉐 911(2.31점), 벤츠 E클래스 왜건(2.30점)에 이은 3위로, 국제적인 우수성을 인정받은 것이다.[24][25] 기아가 독자 개발한 전륜구동 플랫폼은 기술 도입선이었던 마쓰다에서도 높이 평가하여, 기술 협력 관계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뉴 세피아는 인도네시아에서 국민차로 선정되어 '티모르(Timor) S5'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고, 88개국에 진출했다. 1995년 국제 자동차 연맹(FIA) 호주 세계 랠리에서는 NP3 배기 개조 부문(1,601~2,000cc)과 NP2 비개조 부문(1,301~1,600cc)에서 1위를 차지했다.

1996년 10월 23일에는 유럽 시장을 겨냥한 5도어 해치백 모델 세피아 레오가 출시되었으나, 기아자동차의 경영 악화로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하고 단종되었다.

1996년 5월에 선보인 1997년형은 리어 램프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기아가 자체 개발한 T8D 139마력 1.8ℓ DOHC 엔진이 추가되어 완전 국산화된 고유 모델로 기록되었다.

5도어 왜건 모델인 '기아티모르(Timor) 세피아 왜건'은 인도네시아에서만 판매되었으며, 'Timor S515i' 형식으로 판매되었으나 저조한 판매로 실패했다.

기아 뉴 세피아 정측면


기아 뉴 세피아 후측면

2. 4. 제원 (뉴 세피아)

(mm)4,360
4,250(레오)전폭
(mm)1,695전고
(mm)1,390축거
(mm)2,500윤거
(전, mm)1,440윤거
(후, mm)1,435승차 정원5명변속기수동 5단
자동 4단구동 형식전륜구동연료가솔린연료 분사 방식MPI (Multi Point Injection)엔진 형식B5-MEB5-DET8D배기량
(cc)1,4981,793최고 출력
(ps/rpm)92/5,500105/5,500139/5,500최대 토크
(kg*m/rpm)13.5/2,50015.0/4,00017.8/4,500서스펜션
(전)맥퍼슨 스트럿서스펜션
(후)듀얼 링크식 맥퍼슨 스트럿연비
(km/ℓ)15.75(수동)/
12.58(자동)15.97(수동)/
12.35(자동)14.1(수동)/
11.3(자동)


3. 2세대 (1997년 8월~2003년)

1997년 8월 18일에 2세대 모델인 '세피아 II'가 출시되었다. 세피아 II는 현대 아반떼(J2), 대우 누비라와 경쟁하기 위해 대한민국 소비자의 선호 경향을 반영하여 디자인을 개선하고 승차감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차체가 커지면서 엔진 성능은 오히려 1세대보다 떨어졌다. 기아자동차의 부도와 IMF 외환 위기까지 겹치면서 판매 부진을 겪었다.[2]

1997년 11월 20일에는 테라스 해치백 타입의 '슈마'가 출시되었다. 슈마는 현대 티뷰론이 선점하던 스페셜티 카 시장 진입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나, 토요타 셀리카(6세대)를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1999년 4월 19일에 2000년형 세피아 II로 연식이 변경되었고, 2000년 5월 29일스펙트라로 페이스 리프트되면서 '세피아'라는 이름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한편 슈마는 2000년 11월 2일스펙트라 윙으로 페이스리프트 되었다.

3. 1. 세피아 II (1997년 8월~2000년 5월)

1997년 8월 18일에 출시된 세피아 II는 현대 아반떼(J2), 대우 누비라와 경쟁하기 위해 대한민국 소비자의 선호 경향을 반영하여 디자인과 승차감을 개선하였다. 그러나 차체가 커지면서 성능이 제대로 뒷받침되지 못했고, 엔진 성능은 오히려 1세대보다 떨어졌다. 설상가상으로 기아자동차의 부도와 IMF 외환 위기까지 겹치면서 판매 부진을 겪었고, 결국 경쟁 모델인 현대 아반떼(J2), 대우 누비라에 밀렸다.[2] 1999년 4월 19일에는 2000년형으로 연식이 변경되었고, 2000년 5월 29일스펙트라로 페이스리프트되었다.

기아 세피아 Ⅱ 정측면


기아 세피아 Ⅱ 후측면


1997년에 세피아는 4도어 세단과 5도어 리프트백으로 완전히 재설계되었으며, 기아 자체적으로 마쓰다의 도움을 받아 설계했다. 기아는 DOHC 1.5리터 엔진과 자체 개발한 새로운 DOHC 1.8리터 엔진(기아 엘란을 위해 처음 개발된 T8D 엔진) 및 개선된 에어컨 시스템을 사용했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에 세피아 명칭이 폐지되고 스펙트라로 대체되었다.

3. 2. 제원 (세피아 II)

자동 4단구동 형식전륜구동연료가솔린배기량 (cc)1,4981,793최고 출력 (ps/rpm)90/5,500101/5,000130/6,000최대 토크 (kg*m/rpm)13.1/3,00014.0/4,00017.0/4,000서스펜션 (전)맥퍼슨 스트럿서스펜션 (후)듀얼 링크식 맥퍼슨 스트럿연비 (km/ℓ)15.2 (수동)/
13.2 (자동)15.3 (수동)/
13.5 (자동)13.6 (수동)/
11.7 (자동)


3. 3. 슈마 (1997년 11월~2000년 11월)

기아 슈마 정측면


기아 슈마 후측면


세피아 2테라스 해치백 타입으로, 현대 티뷰론이 선점하던 스페셜티 카 시장 진입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슈마는 라틴어로 '최고, 최강'을 뜻한다. 1997년 11월 20일에 출시된 슈마는 트윈 헤드 램프 때문에 토요타 셀리카(6세대)를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엔진은 1.5ℓ SOHC, 1.5ℓ DOHC, 1.8ℓ DOHC 등 3가지를 얹었으며, 대한민국의 모터 스포츠계에도 진출했다. 1998년 7월 10일에 1999년형, 1999년 4월 19일에 2000년형, 2000년 2월 15일에 밀레니엄 슈마로 연식변경되어 판매되다가, 11월 2일스펙트라 윙으로 페이스 리프트되었다. 슈마라는 명칭은 이후 포르테 쿱K3 쿱중국 시장용 명칭으로 쓰였다.

기아 슈마 제원
구분1.5ℓ SOHC1.5ℓ DOHC1.8ℓ DOHC
전장(mm)4475mm
전폭(mm)1700mm
전고(mm)1410mm
축거(mm)2560mm
윤거(전, mm)1465mm
윤거(후, mm)1455mm
승차 정원5명
변속기수동 5단/자동 4단
구동 형식전륜구동
연료가솔린
배기량(cc)1,4981,793
최고 출력(ps/rpm)90/5,500101/5,000130/6,000
최대 토크(kg*m/rpm)13.1/3,00014.0/4,00017.0/4,000
서스펜션(전)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후)듀얼 링크식 맥퍼슨 스트럿
연비(km/ℓ)15.2(수동)/13.2(자동)15.3(수동)/13.5(자동)13.6(수동)/11.7(자동)


3. 4. 제원 (슈마)

자동 4단구동 형식전륜구동연료가솔린배기량 (cc)1,4981,793최고 출력 (ps/rpm)90/5,500101/5,000130/6,000최대 토크 (kg*m/rpm)13.1/3,00014.0/4,00017.0/4,000서스펜션 (전)맥퍼슨 스트럿서스펜션 (후)듀얼 링크식 맥퍼슨 스트럿연비 (km/ℓ)15.2(수동)/
13.2(자동)15.3(수동)/
13.5(자동)13.6(수동)/
11.7(자동)


참조

[1] 웹사이트 기아자동차 세피아 발표회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2-09-23
[2] 웹사이트 Blast From the Past #26: First Korean car produced in Indonesia http://joongangdaily[...] Korea JoongAng Daily 2010-07-12
[3] 웹사이트 기아차, 45년만에 승용차 500만대 판매…'피아트124'부터 'K5'까지 http://news.newsway.[...] Newsway 2015-03-17
[4] 간행물 Um coreano em versão tropical http://3.bp.blogspot[...] 1994-04
[5] 서적 Japanese Industry: Back on Track? Editions JR, J.-R. Piccard
[6] 웹사이트 Ketahui Kelemahan Sedan Timor, Mobil Kontroversial yang Bandel https://www.carmudi.[...] 2020-07-07
[7] 웹사이트 "[카&드라이브] 미니밴 : 온가족의 '모빌홈' 시대 활짝" https://www.hankyung[...] 1999-11-16
[8] 웹사이트 Arab American Vehicles Co http://www.aav.com.e[...] Aav.com.eg
[9] 웹사이트 Izhevsk Car Factory Stopped Production of Kia http://wroom.ru/en/n[...] Wroom.ru 2011-09-19
[10] 웹사이트 HICOM Automotive - Milestones http://www.hicom-aut[...] hicom-automotive.com.my 2017-02-16
[11] 웹사이트 Kia Mentor (Mentor II) http://www.goauto.co[...] John Mellor
[12] 웹사이트 Kia Mentor http://www.goauto.co[...] John Mellor
[13] 웹사이트 1998 Kia Mentor SLX sedan – The Car http://www.goauto.co[...] John Mellor 1999-05-26
[14] 웹사이트 Kia Shuma (Shuma) http://www.goauto.co[...] John Mellor
[15] 웹사이트 Kia Spectra (FB Spectra) http://www.goauto.co[...] John Mellor
[16] 웹사이트 2001 Kia Spectra LS 5-dr hatch – Our Opinion http://www.goauto.co[...] John Mellor 2001-08-26
[17] 웹사이트 Kia Sephia Taxi 2020: Características y precio en Colombia https://www.elcarroc[...] 2019-08-16
[18] 서적 Japanese Industry: Back on Track? Editions JR, J.-R. Piccard
[19] 뉴스 세단型승용차 「세피아」개발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91-10-16
[20] 뉴스 세피아 새차발표회 https://newslibrary.[...] 한겨레 1992-09-18
[21] 뉴스 멋있게 빠르게 정통스포츠카 国産化 붐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2-02-08
[22] 뉴스 準중형차 시장 불붙었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2-09-18
[23] 뉴스 美교통안전국 충돌테스트에서 「세피아」가 4스타를 획득했습니다 https://newslibrary.[...] 기아자동차 1995-06-16
[24] 뉴스 起亞 세피아, 獨서 소형차 만족도 1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6-07-20
[25] 뉴스 세피아, 독일에서 금메달! https://newslibrary.[...] 기아자동차 1996-08-05
[26] 뉴스 내년 선보일 新車 대부분이 내수경쟁 차종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3-1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